본문 바로가기
창업/ERP & MES

[ERP & MES] QCD 관리 지표[대량 생산의 한계]

by Thompson 2025. 5. 21.
728x90
반응형
QCD란 무엇인가?

 

기존 제조업에서 핵심 지표로 채택하는 관리 지표 방법입니다.

QCD는 품질(Quality), 비용(Cost), 납기(Delivery)의 약자로, 주로 대량 생산 체제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관리 기준입니다.

 

  • Q(Quality) : 품질, 기존에는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좋은 장비를 도입하면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한 부분이 하지만 불량률, 재작업의 문제가 발생.
  • C(Cost) : 비용, 기존에는 노동력을 줄임으로써 해결이 가능했지만, 초기 비용과 불필요한 재료 손실이 존재.
  • D(Delivery) : 납기, 납기기간이 정확해야하는데 "다품종 소량"이 많이 필요해지자 이는 한계가 뚜렿하게 존재.

 

전통적인 대량 생산 방식에서는 QCD만 잘 관리하면 전반적인 생산성과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소비자의 요구는 다양해지고, 제품은 복잡해졌으며, 생산 방식 또한 유연성을 요구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QCD 중심의 관리 지표는 한계를 드러나고 있습니다.

 

Q (Quality, 품질)

  • 제품 복잡성 증가로 인해 "불량률"이 오히려 높아지는 경향.
  • 고객 요구가 다양해지며 "재작업" 빈도가 상승.
  • 단순 장비 투자로는 해결되지 않는 "공정 간 품질 편차".

C (Cost, 비용)

  • 자동화 장비의 도입도 초기 "투자비"와 "유지비"가 만만치 않음.
  • 에너지, 소재비 등 고정비가 상승하며 "원가 절감 여력"이 줄어듦.
  • 반복 생산 기반이 아닌 "유연 생산 체계"에서는 오히려 단가가 상승.

D (Delivery, 납기)

  • 고객의 주문이 "다품종 소량 생산" 형태로 전환됨.
  • 복잡한 생산계획과 수요 변동성으로 인해 "납기 지연" 발생.
  • 납기를 맞추기 위해 무리한 작업으로 인해 "품질 저하", "직원 피로" 증가.